고급정보

세법에서 양도세과세 대상은 ??

또복이 인생살이 2016. 8. 14. 00:00
728x90
반응형


우리가 보통 부동산을 양도한다고 하면 대가를 받고 부동산을 넘겨주는 
‘매매’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세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도 양도로 보고 있다





■ 교환 

당사자 쌍방이 별개의 자산을 서로 교환하는 경우도 양도로 본다. 예를 들어 
갑 소유 주택과 을 소유 나대지를 서로 교환한 경우, 갑은 을에게 주택을 
양도하고 을은 갑에게 나대지를 양도한 것으로 본다. 
※ 토지의 경계를 변경하기 위하여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에 따른 토지를 
다음의 요건을 모두 갖추어 교환의 경우는 양도소득세 과세대상에서 제외(2015 년 1월 
1일 이후 교환하는 분부터) 
①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등 법률에 따라 토지를 분할하여 교환 
② 토지의 교환으로 인한 변동 면적이 교환 대상 토지 전체 규모의 2/10 이내일 것 
③ 관할 세무서장에게 신청할 것

■ 법인에 대한 현물출자

회사를 설립할 때 금전 이외에 부동산 등을 출자하고 그 대가로 주식 또는 
출자지분을 취득하는 것도 양도로 본다.






■ 부담부증여

부담부증여’란 수증자가 재산을 무상으로 받으면서 증여자의 채무를 
부담하거나 인수하는 증여를 말한다.  타인간에 부담부증여를 하는 경우에는 증여재산가액 중 
수증자가 인수한 채무액에 상당하는 부분은 양도로 보고, 채무액을 제외한 순수한 증여분만 
증여로 본다. 그러나 배우자나 직계존비속간에 부담부증여를 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증여재산가액 중 채무액에 상당하는 부분도 증여로 보나, 수증자가 실지 
부담하는 사실이 객관적으로 입증되는 경우에는 채무액에 상당하는 부분을 
양도로 본다.


■ 담보로 제공한 자산이 경락된 경우

채무보증을 위해 담보로 제공한 자산이 경락되어 타인에게 소유권이 
이전되는 경우 이는 직접 대가를 받고 양도한 것이 아니더라도 그에 상당하는 
금액만큼 채무를 면하게 되므로 자산을 양도한 것으로 본다.





■ 가등기에 따라 본등기를 행한 경우

채권자가 채권담보목적으로 채무자 소유 부동산을 가등기 한 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으로 채권변제에 충당하기 위하여 당해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본등기)를 이행한 때에는 본등기가 완료된 때에 채무자가 
채권자에게 자산을 양도한 것으로 본다.


■ 이혼위자료로 부동산 소유권을 넘겨준 경우

당사자간의 합의에 의하거나 법원의 확정판결에 의하여 일정액의 위자료를 
지급하기로 하고 동 위자료 지급에 갈음하여 당사자 일방이 가지고 있던 
부동산의 소유권을 넘겨준 경우에는 그 자산을 양도한 것으로 본다. 
따라서 위와 같은 사유로 소유권이 이전된 경우에도 양도소득세 신고 등 
관련의무를 이행해야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 .






여러한 경우가 있으니 잘확인하시고
성실신고납부 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국세청 세금절약가이드 





금융에 대한 모든것 
인터넷 사용자들이 필요로 하는 금융서비스를
한눈에 보고 자신이 궁금해 하고 상담 받고 싶고 
서비스 받고 싶은  모든 금융에 대한 것에 대해
금융전문가를 매칭해 주는 서비스 

한국금융포털서비스 입니다. 

재무설계,주식,펀드/기업컨설팅/보험/신용회복/햇살론/리스,렌트등
개인 및 법인  
재테크,자금조달,자금운영,미래설계등 
금융에 관한 모든 분야를 상담해드리고 있습니다

필요한분 꼭 한국금용포털 사이트 이용해 보세요 

한국금융포털서비스

http://kfpservice.com/log.asp?pid=minwon97&code=500



728x90
반응형